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0

자석의 이용 1. 자석의 발견 자석은 영어로 마그넷(magnet)이라고 하며, 마그넷이라는 용어의 기원은 두 가지 설이 있다. 먼저, 마그네스라는 목동이 산에서 철이 땅에 달라붙는 것을 보고 천연 자석을 발견하였으며, 목동의 이름을 따서 자석을 마그넷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설은 쇠를 끌어당기는 돌이 마그네테스족의 나라(마그네시아)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그 지역의 이름을 따서 그리스인들이 마그넷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2. 자기장과 자성 자기력이 작용하는 공간을 자기장이라고 하고, 물질이 나타내는 자기적 성질을 자성이라고 한다. 자기장에 반응하는 유형에 따라 자성은 강자성, 상자성, 반자성으로 구분된다. 강자성은 주변에 자석이 있을 때 자석의 자기장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물질 내부에 강한 자기장.. 2023. 9. 14.
동물의 한살이2 1. 날개가 없는 곤충 배추흰나비를 비롯한 많은 곤충들이 날개가 있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학생들이 날개가 있어야 곤충인 것으로 오개념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개미를 제시하여 날개가 없는 동물 중에서도 곤충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개미는 날개가 없고 초파리는 날개가 한 쌍밖에 없는 데도 곤충이라고 부른다. 개미의 경우 짝짓기를 해야 하는 여왕개미나 수개미는 날개가 있지만, 짝짓기를 하지 않는 일개미는 날개가 없다. 2. 배추흰나비 애벌레가 번데기가 되는 장소 네 번 허물을 벗은 배추흰나비 애벌레는 번데기가 되기 위해 안전한 장소를 찾아 돌아다닌다. 화분에 막대를 넣어주는 경우 막대 위에서 막대와 비슷한 색깔로 번데기가 되기도 한다. 이외에도 화분 아래, 사육 상자 벽면, 잎 뒷면 등 다양한 곳에서 번.. 2023. 9. 14.
동물의 한살이1 1. 동물의 한살이 동물의 한살이란 동물이 알이나 새끼로 태어나서 자라고, 다 자란 동물이 다시 알이나 새끼를 낳아 대를 잇고 죽기까지의 과정이다. 곤충의 한살이는 알에서 어른벌레로 바뀌면서 자라는 탈바꿈의 과정을 의미하기도 한다. 2. 곤충 곤충은 절지동물문 곤충강에 속하는 작은 동물을 부르는 말이다. 곤충은 흔히 벌레라고도 부르는데, 이 경우 곤충 이외의 작은 동물까지 포함한다. 곤충은 몸이 머리, 가슴, 배의 세 부분으로 구분되고 척추가 없다. 일반적으로 세 쌍의 다리와 두 쌍의 날개, 더듬이가 있지만, 날개는 퇴화되어 없거나 한 쌍만 있는 곤충도 있다. 곤충의 몸은 외골격이라는 딱딱한 피부로 싸여 있는데, 외골격에는 근육이 붙어 있다. 외골격은 곤충의 몸에 있는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 2023. 9. 14.
소리의 성질 1. 파동 물체가 외력을 받아 평형 위치에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반복되는 운동을 진동이라고 한다. 이러한 진동이 물질을 통해 주위로 퍼져나가는 현상을 파동이라고 한다. 파동이 진행할 때 매질은 제자리를 중심으로 진동하고, 파동을 따라 이동하는 것은 에너지이다. 소리도 물체의 진동으로 발생하고 매질의 진동으로 인해 전달되는 파동의 한 종류이다. 악기를 연주할 때 악기가 진동하면서 소리가 나고, 이 진동이 이웃한 공기를 진동시켜 에너지가 주변 공기를 진동시키면서 우리 귀까지 전달되는 것이다. 소리가 전달될 때 소리를 전달해 주는 물질을 매질이라고 한다. 현악기에서 팽팽한 줄의 한 곳을 튕길 때 줄이 흔들리면서 줄을 따라 진행해 나가는 파동이 생긴다. 이때 줄은 매질의 역할을 한다. 또한 잔잔한 연못에 돌을.. 2023. 9.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