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0

날씨와 우리 생활 1. 날씨와 기후 날씨는 특정 시각과 장소에서 나타나는 일시적인 대기의 상태를 말하며 기온, 습도, 강수, 기압, 바람 등 날씨의 요소로 나타낸다. 기후는 어느 지역에서 수십 년간 나타난 날씨의 요소를 평균한 것으로, 보통 최근 약 30년간의 날씨 자료를 활용한다. 2. 날씨의 요소 특정한 대기의 상태를 이야기하는 데 필요한 요인으로 기상 요소, 기후 요소, 일기 요소라고도 한다. 날씨의 요소는 대기의 여러 상태 중에서도 우리 생활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이 중 기온, 강수량, 바람은 날씨의 3대 요소로 꼽힌다. ① 습도 공기 중에 수증기가 포함된 정도를 말하며 상대 습도가 가장 일반적으로 쓰인다. 상대 습도는 현재 기온에서의 포화 수증기량과 실제 수증기량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대 습도는.. 2023. 9. 17.
생물과 환경 1. 생태계 생태계는 군집과 그 서식지를 포함하는 계로서, 영국의 식물 생태학자 탠슬리(1871~1955)는 생물뿐만 아니라 물리적 환경을 포함한 가장 넓은 의미의 총체적인 계라고 정의하였다. 생태계에서 군집과 서식지는 작용과 반작용, 즉 물리적 환경이 생물에 미치는 영향과 생물이 그 물리적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의해서 서로 연관되어 있다. 생태계는 물질이 순환하고 에너지의 흐름이 일어나는 하나의 기능적인 체계로,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의 생물 요소와 햇빛, 공기, 물 등의 비생물 요소가 있는 지역은 어느 곳이나 하나의 생태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구상에는 여러 형태의 생태계가 존재한다. 생태계는 주로 생물 요소의 특징에 따라 삼림 생태계, 초원 생태계, 툰드라 생태계, 사막 생태계 등으로 나눈다.. 2023. 9. 16.
물질의 성질 1. 물질 물질은 질량을 가지고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말한다. 물질은 고체, 액체, 기체의 세 가지 상태로 존재하나 이 단원에서의 물질은 물체를 이루고 있는 재료의 의미로만 사용하며, 물질의 상태를 구체적으로 구분하지는 않는다. 2. 물질의 성질 ① 물질은 겉보기 성질, 어는점, 녹는점, 끓는점, 밀도, 용해도 등의 고유한 성질이 있다. 이 단원에서는 겉보기 성질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 물질의 성질을 알아본다. ② 물질의 겉보기 성질은 겉으로 보았을 때 쉽게 구분되는 성질로, 감각 기관이나 간단한 도구를 사용하여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물질의 성질(색깔, 냄새, 맛, 촉감, 굳기 등)을 말한다. 3. 여러 가지 물질의 특성 •금속: 수은을 제외한 모든 금속은 상온에서 고체이며 불투명하다. 또한, 광택이 있어.. 2023. 9. 15.
지구의 모습 1. 지구의 표면 지구는 태양계 천체 중 물이 흐르는 유일한 천체로, 표면의 모습이 계속 변화해 왔다. 지구 표면에는 강과 호수, 바다, 들, 사막, 빙하, 화산을 포함한 산과 산맥 등 다양한 모습이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그 모습이 변화해 갈 것이다. 2. 지구에 관한 오해 인공위성이 없던 과거에는 지구 전체의 모습을 볼 수 없었다. 이로 인해 사람들은 눈으로 보이는 것에서 추론하여 지구에 관한 여러 가지 잘못된 생각들을 하게 되었다. - 지구가 납작한 원기둥 모양이라고 생각했다. - 지구의 윗면은 편평하고 아랫부분만 둥글다고 생각했다. - 둥근 공 모양의 지구 속에 편평한 땅이 있다고 생각했다. - 둥근 공 모양의 지구에서 북반구에만 사람들이 산다고 생각했다. - 북극이 위쪽이어서 지구의 모든 곳에서.. 2023. 9.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