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0

물체의 무게 1. 무게와 질량 물체의 무게는 어떠한 장소에서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를 말한다. 무게는 질량과 중력 가속도와의 곱이며, 장소에 따라 달라진다. 그 까닭은 장소에 따라 중력 가속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중력 가속도는 g로 나타내며 지구의 평균 해수면을 기준으로 한 표준값은 약 9.8 m/이다. 질량의 기본 단위는 kg이다. 무게의 단위를 질량의 단위와 중력가속도의 곱셈으로 표시하면 kg x m/s2이고, 이것은 힘의 단위인 N(뉴턴)과 같다. 무게의 단위는 N 대신에 ‘kg중’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여기에서 ‘중’은 중력 가속도를 의미한다. 즉 1 kg중=9.8 N이다. 2. 용수철저울 용수철은 잡아당겼다가 놓으면 원래대로 돌아가려는 성질이 있다. 이 성질을 탄성이라 부른다. 용수철로 만든 저울에 추.. 2023. 9. 9.
식물의 한살이 1. 씨(종자) 종자식물, 즉 겉씨식물과 속씨식물에서 수정한 밑씨가 발달, 성숙한 기관이다. 싹이 터서 새로운 개체가 되므로 식물의 번식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씨는 바깥쪽의 씨껍질과 안쪽의 배와 배젖으로 이루어져 있다. 배는 자라서 식물체가 될 부분으로 모든 씨 안에 자리 잡고 있다. 배젖은 배가 싹 트는 데 필요한 영양분을 저장한 부분이며 배젖이 없는 씨도 있다. 콩과 식물은 씨가 만들어질 때 배의 일부분인 떡잎이 배젖을 모두 흡수하여 떡잎에 영양분을 저장한다. 2. 식물의 한살이를 통한 생명의 연속성 오랜 시간 동안 지구상의 생명이 끊어지지 않고 이어지는 생명의 연속성은 생물이 생식 과정을 통해 자손을 남겨 유전 정보를 전달하고 번식하여 유지된다. 식물은 씨가 싹 터서 자란 후 꽃과 열매를 맺.. 2023. 9. 8.
지층과 화석 1. 지층 자갈, 모래, 진흙 등이 물이나 바람 등에 의해 운반되어 바다나 호수 등에 쌓인 후 굳어져서 만들어진 퇴적암층을 지층이라고 한다. 지층이 만들어지는 데는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며 퇴적물은 중력에 의해 아래에서부터 차례대로 쌓이므로 아래쪽 지층이 위쪽 지층보다 먼저 쌓인 것이다. 바다나 호수 바닥은 대부분 편평하므로, 이러한 바닥에 퇴적물이 한겹 한겹 쌓이면 해수면과 거의 나란한 줄무늬가 형성되는데 이를 층리라고 한다. 즉, 층리는 지층에 나타난 나란한 줄무늬 구조를 의미한다. 지층에 나타난 줄무늬의 두께나 색깔의 차이는 퇴적물 입자의 크기, 퇴적물의 종류와 색깔 등의 차이에 의해 나타난다. 2. 퇴적암 퇴적암은 퇴적물들이 다져짐(압축) 작용 및 교결 작용을 받아 단단하게 굳어진 암석을 의미한다.. 2023. 9. 7.
식물 줄기의 구조와 기능 1. 줄기의 여러 가지 생김새 식물의 줄기는 땅 위로 곧게 자란 것, 땅 위를 기는 것, 양분을 저장해 덩이 모양으로 된 것, 다른 물체를 감는 것 등 생김새가 매우 다양하다. 2. 쌍떡잎식물과 외떡잎식물 줄기의 관다발 쌍떡잎식물은 관다발이 줄기의 가장자리를 따라 질서 있게 배열되어 있으며 물관과 체관 사이에 형성층(부름켜)이 있어 부피 생장이 일어난다. 쌍떡잎식물에는 셀러리, 봉숭아, 민들레, 무궁화, 복숭아나무 등이 있다. 외떡잎식물은 관다발이 줄기에 불규칙하게 흩어져 있고, 형성층이 없어 부피 생장이 일어나지 않는다. 외떡잎식물은 볏과나 사초과 등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이 많으며 추운 겨울 전에 일생을 보내야 하므로 질서 있는 관다발 조직이 형성되지 않는다. 외떡잎식물에는 백합, 벼, 보리, 옥수수, .. 2023. 9.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