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39

우리나라 생태계를 교란하는 생물의 종류 애기수영 애기수영은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유럽이 원산지이며 길가나 공터에서 자란다. 곧게 자란 줄기에 가지가 많이 분지한다. 꽃은 단성화로, 수꽃에는 수술 6개, 암꽃에는 암술머리 3개가 있다. 1900년대 초 식용을 목적으로 도입했으나, 종자가 흩어져 주변으로 퍼져나가고 뿌리에서 새로운 개체가 자라면서 다른 식물을 밀어내고 서식지를 점령하는 문제가 생겼다. 게다가 목초지에서 자라면 소나 말이 잘 먹지 않아 더 빠르게 퍼져 목초지를 망가뜨리며, 약을 뿌려도 땅속의 뿌리가 살아남아서 다시 자라기 때문에 개체군을 조절하기 어렵다. 서양금혼초 서양금혼초는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목장과 공터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땅을 덮고 자라며, 씨가 바람에 날려 확산성이 높다. 높이 30~50.. 2023. 8. 30.
전기와 관련된 용어 알아보기 전기 전하는 물체가 전기 현상을 나타내는 근원이 되는 것으로 (+)전하와 (-)전하가 있다. 모든 물질은 원자로 구성되어 있는데, 원자는 (+)전하를 띠는 원자핵과 (-)전하를 띠는 전자로 구성되어 있다. 보통의 원자는 (+)전하의 양과 (-)전하의 양이 같으므로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그런데 서로 다른 두 물체를 문지르면 한 물체에서 다른 물체로 전자가 이동한다. 이때 전자를 잃어버린 물체는 (+)전하를 띠고, 전자를 얻은 물체는 (-)전하를 띠게 된다. 이 두 물체 사이를 금속과 같은 도체로 연결하면 전자가 이동하는데 이것을 전류가 흐른다고 한다. 전류가 계속 흐르려면 전자가 일정한 방향으로 계속 이동해야 하는데 이때 필요한 장치가 전지이다. 전기 회로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는 전선의 전자들이 불규.. 2023. 8. 30.
궁금한 점을 자유 탐구로 해결하는 방법 자유 탐구는 우리 주변의 세계에 대해 의문을 갖고 탐구 주제 선택, 탐구 설계, 탐구 수행, 결론 도출의 모든 과정을 스스로 해결하는 자기 주도적인 탐구를 말한다. 자유 탐구 활동의 유형은 관찰 중심 탐구, 실험 중심 탐구, 조사 중심 탐구, 기르기 중심 탐구, 탐사, 탐방 중심 탐구, 만들기 중심 탐구 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우리는 평상시 생활하며 주변의 세계, 현상 등에 대해 궁금한 점이 떠 오를 때가 있다. 이때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궁금한 점을 해결할 수 있다. 우선, 궁금한 것 중에서 탐구 문제를 정한다. 그리고 탐구 계획을 세우고 계획에 따라 여러 차례 탐구를 실행하고 탐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탐구의 과정을 실제의 예를 들어 순서대로 해결하는 과정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여기서는 .. 2023. 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