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차가운 공기가 든 통이 따뜻한 공기가 든 통보다 더 무거운 까닭
기체의 온도가 높을수록 일정 부피에 포함될 수 있는 기체 분자의 수는 감소한다. 플라스틱 통에 차가운 공기를 넣었을 때 들어갈 수 있는 기체 분자의 수는 따뜻한 공기를 넣었을 때보다 많으므로 차가운 공기가 든 플라스틱 통의 무게가 더 무겁다.
2. 고기압과 저기압
지구 표면은 그것을 구성하는 물질의 비열 차이로 인해 가열되는 정도가 다르다. 이러한 차이는 서로 인접한 지역 사이의 기압 차이를 유발한다. 따뜻한 지표면 위의 공기는 활발한 기체 분자 운동으로 팽창함에 따라 단위 부피당 무게가 줄어들며 지표면에서의 기압도 낮아진다. 반면 차가운 지표면 위의 공기는 기체 분자 운동이 느려지면서 수축하므로 단위 부피당 무게가 늘어나 기압이 높아진다. 이렇게 단위 부피당 공기의 무게가 주위보다 상대적으로 무거운 곳은 고기압, 상대적으로 가벼운 곳은 저기압이 된다.
3. 바람이 부는 까닭
지구 표면 위 공기의 기온 차이가 생기면, 이는 기압 차이를 발생시키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공기가 이동한다. 즉, 주변보다 따뜻한 공기는 상승하고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는 상승한 공기가 있던 공간을 채우기 위해서 이동한다. 더불어 상승하는 공기는 점차 기온이 내려가고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무거워져 다시 하강한다. 이때 공기의 이동 중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은 ‘바람’,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은 ‘기류’라고 한다.
4. 바람이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부는 까닭
주사기를 이용한 실험으로 공기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이동하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피스톤을 반쯤 빼낸 주사기의 구멍을 손가락으로 막은 채 피스톤을 밀다가 구멍을 막은 손가락을 떼면 상대적으로 고기압인 주사기 안에서 상대적으로 저기압인 바깥으로 공기가 빠져나간다.
5. 해륙풍
•맑은 날 바닷가에서 하루를 주기로 하여 지표면의 기온 차이에 의한 기압 차이로 발생하는 국지적인 바람이다. 낮에는 해풍(sea breeze), 밤에는 육풍(land breeze)이 불어 낮과 밤에 바람의 방향은 반대로 나타난다.
•맑은 날 일출 후 1 ~ 2시간과 일몰 후 잠시 동안은 바람이 거의 불지 않는다.
•해풍은 일반적으로 풍속이 5 m/s ~ 6 m/s 정도지만 바닷가의 지형에 따라 7 m/s ~ 8 m/s까지 불기도 하며 내륙 쪽으로 갈수록 약해진다. 반면 육풍은 밤에 바다의 기온이 주변 육지보다 더 높아 육지에서 바다 쪽으로 부는 바람이며, 풍속은 약 2 m/s ~ 3 m/s로 해풍에 비하면 비교적 약하다.
•해풍은 해안선에서부터 내륙 20 km ~ 50 km의 거리까지 불지만, 육풍의 범위는 7 km ~10 km 정도이다.
•계절적으로 해륙풍은 여름에 잘 발달하며, 겨울에는 발달하지 않는다.
6.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공기 덩어리(기단)
기단은 대륙의 대평원이나 바다처럼 광활하며 표면이 비교적 균일하고 바람의 영향이 적은 곳에 서 잘 형성된다. 온도와 습도 등 기단의 고유한 성질은 기단 발생지의 지리적 특성을 반영해 나타나고, 이는 기단 영향권 내의 날씨에 큰 영향을 준다.
기단의 세력은 계절 등 시기에 따라 강해지거나 약해져 한 지역에서도 영향을 주는 기단이 달라지고, 여러 기단이 서로 중복되거나 동시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는 겨울철에 시 베리아 기단 (한랭 건조), 여름철에 북태평양 기단 (고온 다습)과 적도 기단 (고온 다습), 초여름에는 오호츠크해 기단 (한랭 다습) 등의 영향을 받는다.
한랭 건조한 시베리아 기단은 겨울철에 북서 계절풍을 타고 우리나라에 춥고 건조한 날씨를 초래한다. 북태평양 기단은 여름철 북태평양 고기압으로 우리나라에 북상해 고온 다습한 날씨가 나타나게 한다. 적도 기단도 주로 여름철에 영향을 주는 기단으로 적도 부근에서 만들어진 태풍의 북상에 영향을 준다.
이 외에도 우리나라의 봄가을에 영향을 주는 양쯔강 기단이 있다. 양쯔강 이남 지역 평야에서 발생하는 대륙성 열대 기단인 양쯔강 기단은 매우 건조해 비가 잘 내리지 않는다. 하지만 양쯔강 지역은 기단 형성에 적합하지 않아 최근에는 양쯔강 기단을 기단으로 인정하기보다는 시베리아 기단에서 떨어져 나온 변질된 이동성 고기압으로 보고 있다.
7. 비와 눈이 생기는 까닭
구름으로부터 빗방울이나 눈송이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충돌·병합 과정과 빙정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병합설 : 저위도 지방에서 구름이 있는 곳의 기온은 보통 0°C 이상으로, 구름은 작은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다. 이 물방울이 서로 충돌하고 합쳐져 크기가 커지면 무거워져 아래로 떨어지며 비가 된다.
•빙정설 : 중위도나 고위도 지방에서 기온이 -40°C에서 0°C 사이 구간에 있는 구름은 작은 물방울과 얼음 결정(빙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물방울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빙정에 달라붙으면 빙정은 점차 커지고 무거워져 아래로 떨어진다. 이때 떨어지는 빙정이 녹으면 비가 되고, 녹지 않고 그대로 떨어지면 눈이 된다.
8. 애플리케이션(준말: ‘앱’)
넓은 의미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컴퓨터의 운영 체제에서 실행되는 모든 응용 소프트웨어(또는 응용 프로그램)를 말한다. 예를 들면 게임 프로그램, 워드 프로세서 프로그램 등이 있다. 일반 컴퓨터 프로그램과의 차별점은 단일 프로그램이 아니라 특정한 업무를 위한 프로그램들의 집합체라는 점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운영 체제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개발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주로 지칭한다. 현재 지하철 도착 시간을 알려 주는 앱, 영어 단어를 검색하는 앱, 카메라 촬영을 도와주는 앱, 별자리를 알아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앱, 건강 상태를 점검하는 앱, 기차표를 예매하는 앱, 음식을 주문하는 앱 등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앱이 등장하였으며 이들은 하기 어려웠거나 시간이 오래 걸렸던 일들을 훨씬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