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관
모든 생물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사람의 몸도 약 60조 개나 되는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포의 모양과 크기는 다양하다. 모양과 기능이 같은 세포가 모여 조직을 이루고, 여러 조직이 모여 일정한 형태를 갖추고 특정한 기능을 하는 기관을 이룬다. 우리 몸속의 위, 심장, 폐, 콩팥 등이 기관에 속한다.
2. 기관계
동물에서 동일한 목적을 위해 서로 연계된 기관의 모임을 기관계라고 한다. 사람의 기관계에는 근골격계, 소화계, 순환계, 호흡계, 배설계, 신경계 등이 있다.
1) 근골격계
근골격계는 몸을 지탱하고 움직이게 해 주는 일을 담당한다. 사람의 근골격계는 뼈와 근육, 관절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람은 200여 개의 뼈가 몸을 지탱하고 내부 기관을 보호하며, 뼈에 연결된 근육의 수축과 이완으로 뼈가 움직여 관절이 구부러지거나 펴짐으로써 몸이 움직인다.
2) 소화계
소화계는 음식물 속에 들어 있는 영양소를 분해해 몸속으로 흡수하는 일을 담당한다. 사람의 소화계는 음식물이 지나가는 통로인 입, 식도, 위, 작은창자(소장), 큰창자(대장), 항문과 음식물이 지나가지는 않지만 소화액을 생성하거나 분비해 소화를 돕는 간, 쓸개, 이자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3) 순환계
우리가 생명을 유지하려면 끊임없이 세포의 생명 활동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고, 세포에서 만들어진 이산화 탄소와 노폐물을 몸 밖으로 내보내야 한다. 몸속에서 산소와 영양소, 이산화 탄소와 노폐물을 운반하는 일은 순환계가 담당한다. 사람의 순환계는 펌프 역할을 하는 심장과 혈액이 이동하는 통로인 혈관(동맥, 정맥, 모세 혈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물질 운반을 직접 담당하는 것은 혈액이다. 심장에서 나온 혈액은 온몸에 퍼져 있는 혈관을 통해 온몸을 순환하면서 세포에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고, 세포로부터 이산화 탄소와 노폐물을 받아 호흡계나 배설계로 운반한다.
4) 호흡계
호흡계는 산소를 몸속으로 흡수하고, 이산화 탄소를 몸 밖으로 내보내는 일을 담당한다. 사람의 호흡계는 코, 기관, 기관지, 폐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폐는 수많은 폐포로 이루어져 있는데, 모세혈관이 폐포의 바깥쪽을 둘러싸고 있어 폐포 속의 공기와 모세 혈관의 혈액 사이에서 기체 교환이 일어난다.
5) 배설계
배설계는 몸속에서 생긴 요소와 같은 질소 노폐물과 여분의 물 등을 몸 밖으로 내보내는 일을 담당한다. 사람의 배설계는 콩팥, 오줌관, 방광, 요도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혈액이 콩팥을 지나는 동안 혈액 속의 질소 노폐물과 여분의 물 등이 걸러져 오줌이 생성되며, 생성된 오줌은 오줌관, 방광, 요도를 거쳐 몸 밖으로 나간다.
6) 신경계
신경계는 감각 기관에서 받아들인 정보를 전달하고 전달된 정보를 분석해 적절한 명령을 내리며, 이 명령을 운동 기관에 전달하는 일을 담당한다. 사람의 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구성된 중추신경계와 온몸에 퍼져 있는 말초 신경계로 구분한다. 감각 기관에서 받아들인 자극은 말초 신경계(감각 신경)를 통해 중추 신경계로 전달되고, 중추 신경 계에서 자극을 분석해 적절한 행동을 결정하면 이 결정이 말초 신경계(운동 신경)를 통해 운동 기관으로 전달되어 반응이 나타난다.
3. 우리 몸의 뼈
사람은 태어날 때 270여 개의 뼈를 가지고 있지만, 자라면서 많은 뼈가 서로 합쳐져 성인이 되면 200여 개로 된다. 우리 몸을 구성하는 뼈에는 머리뼈, 척추, 갈비뼈, 팔과 다리의 뼈, 손과 발의 뼈 등이 있으며 뇌를 보호하는 머리뼈는 1개가 아닌 여러 개의 뼈로 구성되어 있다. 뼈와 뼈 사이에는 이음매 역할을 하는 관절이 있으며 관절을 움직이는 것은 근육이다.
4. 우리 몸의 근육
사람의 근육에는 골격근, 심장근, 내장근이 있다. 골격근은 뼈에 연결된 근육으로 몸을 음직 이게 한다. 심장근은 심장을 구성하는 근육으로 심장 박동과 같은 강한 수축과 이완을 지속할수 있다. 내장근은 소화관과 같은 내장 기관이나 혈관을 구성하는 근육이다.
5. 우리 몸의 소화 기관
1) 입
음식물의 소화는 입에서부터 시작된다. 음식물이 입 안으로 들어오면 이로 음식물을 잘게 부수고 침샘에서 침을 분비해 음식물을 걸쭉한 상태로 만든다. 침 속에는 녹말을 분해하는 효소인 아밀레이스가 들어 있어 녹말이 엿당으로 분해된다.
2) 식도
식도는 길이 약 25cm의 관으로 입과 위를 연결한다. 식도는 입에서 넘어온 음식물을 꿈틀 운동(연동 운동)이라고 하는 연속적인 근육 운동으로 위로 이동시킨다.
3) 위
위는 불룩한 주머니 모양이며 위로 넘어온 음식물은 위액과 섞이면서 소화된다. 위액에는 염산과 단백질 분해 효소가 들어 있어 단백질의 소화가 일어나며 염산은 음식물에 섞여 들어온 세균을 죽인다. 위는 음식물이 없을 때에는 주먹 정도의 크기이지만 음식물이 가득차면 20배 이상 커질 수 있다.
4) 작은창자(소장)
작은창자는 길이 약 6m〜7m의 긴 관으로, 위와 연결되는 처음 약 30cm 부위를 십이지장이라고 한다. 십이지장에는 쓸개관과 이자관이 연결되어 있어 간에서 생성되어 쓸개에 저장되어 있던 쓸개즙과 이자에서 생성된 이자액이 십이지장으로 분비된다. 이자액에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을 분해하는 효소가 모두 들어 있어 작은창자에서는 3대 영양소의 소화가 모두 일어난다. 작은창자에서 3대 영양소는 흡수 가능한 최종 상태로 분해되어 융털을 통해 흡수된다. 작은창자의 안쪽 벽에는 주름이 많으며, 주름의 표면에는 융털이라는 작은 돌기가 빽빽하게 돋아 있어 영양소와 접촉할 수 있는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영양소를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5) 큰창자(대장)
큰창자는 길이 약 1-5 이의 굵은 관으로, 소화액이 분비되지 않아 소화 효소에 의한 소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작은창자에서 영양소와 대부분의 수분이 흡수되고 남은 음식물 찌꺼기는 큰창자에 도달한 뒤 남은 수분이 흡수되어 대변으로 된 다음 항문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된다.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너지와 생활 (2) | 2023.09.05 |
---|---|
우리 몸의 순환 기관과 호흡 기관, 배설 기관, 감각 기관 (1) | 2023.09.04 |
태양의 고도 (0) | 2023.09.03 |
산과 염기 (1) | 2023.09.02 |
물체의 운동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3.09.02 |